귀농, 귀촌을 하는 이유
귀농,귀촌,또는 전원생활을 꿈꾸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자료출처:귀농,귀촌정책브리핑
귀농이나 귀촌을 생각하는 사람들이 "귀농과 귀촌을 결심하는 가장 큰 이유는 퇴직 후 여생"이라고
답을 했다.이런 답변이 나오게 된 것이 바로 정년 사회나 보장된 정년 퇴임이 없어진 대한민국의
새로운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평생 직장 개념도 없어지고,퇴직하고 난 뒤 나이가 60세이면 옛날과는 다르게 젊은 축에 속하는
노령인구가 많아지는 현대 사회의 모습이 반영되었다고 본다.
건강을 고려하는 답변도 많았는데,건강을 생각하는 시대에서 도시에서의 탁한 매연과 나쁜 공기보다 "자신의 건강을 위한 삶의 질을 향상" 하기 위한 행복한 삶의 모습을 꿈꾸는 사람도 많아졌다.
농촌 생활을 선호하는 사람이 많아진 것은 기존 성공의 모습을 추구하는 사회 구조에 염증을 느낀
"개인 존중이나 남의 눈치 보지 않고 자신의 삶을 살기 원하는 젊은 층"의 실제적인 행동과 활동이
점차 증가하였던 부분도 있다.
다양한 귀농,귀촌의 이유 중에서 방송매체가 다양한 귀농 관련 프로그램을 보도하는 영향도
무시 할 수 없다.6시 내 고향 같은 프로그램은 거의 매주 빠지지 않고 귀농 성공담이나 전원 생활하는 일반인의 모습을 보여준다.
여기에 농비어천가와 같은 귀농 체험 프로그램, 또는남자의 자격의 귀농일기를 보며 귀농, 귀촌을 생각하게 한다.
도시에서 매일 고생하면서 스트레스받고 월급쟁이로 사는 것보다는 자유롭게 평생 직장인 농부로 사는 것도 나쁘지 않고,여기에 소득을 일년에 몇십억씩 올리는 귀농 사례를 보면 마음이 동할 수밖에 없다.
다양한 의견들이 많지만,대체적으로 도시보다 맑은 공기와 자연에서 사는 모습을 꿈꾸는 상상만으로 행복해지기에 귀농과 귀촌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귀농이나 귀촌 지역을 선택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로 생각하는 것이 바로 자연 환경이다.우리는 멋진 전원 주택에서 사는 것을 부러워한다.
자기가 살고 싶은 집을 스스로 짓는 것도 무시 못한다.
보통 귀농,귀촌을 생각하는 사람들은 아무리 땅값이 저렴해도 너무 자연환경이 안 좋은 곳은 가지 않는다.그러나 귀농지를 선택함에 비용이나 경제적 요인이 필수이기에 싸고, 자연환경이 수려한 곳을 찾느라 늘 고민하게 된다.
지인이나, 친척 등의 권유나 연고, 또는 고향에서 살기 위한 귀농도 다양한 의견 중의 하나이지만
가장 큰 문제는 바로 귀농지원금,정착금 명목에 현혹되어 무조건 귀농을 생각하는 이유이다.
그러나 귀농지원금 받기는 슆지 않다.그런데 언론과 방송이 귀농을 하면 나라에서 돈을 그냥 주는 것처럼 방송하고,
도시 실직자들에게 정부 지원금을 받고 귀농하면 좋다는 단편적인 생각으로 사람들을 현혹하고 있다.
귀농정착금이 많다고 소문난 지역에 귀농 인구가 몰리는 점을 생각한다면,실질적인 귀농이나 귀촌에 대한 정부 지원이 얼마나 효과적인가를 알려주는 동시에,
무분별한 지원 대책 홍보는 실패한 귀농인을 양산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각종 정보에서 제일 먼저 보는 정보는 바로 농촌 빈집 정보이다.그런데 이것이 쉽지 않다. 농가주택이 부동산 업자들의 농간에 가격이 거품을 넘어 부동산 투기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원생활 개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귀농" 호락 호락하지 않다 (0) | 2012.07.21 |
---|---|
베비비부머 귀농 급증 (0) | 2012.01.11 |
전원생활 노하우 (0) | 2011.09.20 |
황토 주택의 효능 (0) | 2011.05.06 |
주말용 소형 전원 주택 (0) | 2011.04.14 |